방귀의 과학: 냄새를 만드는 장내 세균

방귀의 과학: 일반적으로 방귀로 알려진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자연스러운 인체의 생리현상입니다. 이러한 방귀는 일반적으로 은밀하지만 지독한 냄새나, 조금은 시끄러운 방식으로 남들에게 알려질 수도 있고, 이는 개인적으로 매우 당혹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방귀 냄새”에 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원인이 되는 장내 세균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냄새를 어떻게 하면 최소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방귀의 과학: 방귀란 무엇일까요?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에 따르면 방귀는 음식물과 함께 입으로 들어간 공기가 소화가 되는 과정에서 생긴 가스와 혼합돼 생깁니다. 사전적 정의의 방귀란 직장부위에서 생성되어 항문 괄약근이 이완되면서 배출되는 가스를 말합니다. 모든 사람이 방귀를 뀌고, 일반적인 사람은 하루에도 10회에서 20회 정도의 빈도로 방귀를 뀝니다. 너무 잦은 방귀를 낀다고 해서 질병으로 간주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방귀 냄새가 지나치게 지독하든지, 혹은 가스가 찬 것 같은 불편함이 있다면 또는 본인의 대변의 형태가 너무 묽거나 딱딱해서 볼 일을 보기 어려운 경우에 의료기관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세균이 살기 최적의 환경, 장

세균이 무조건 다 해롭지는 않다는 것을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오늘 아침에 먹은 요구르트나 요거트, 김치, 된장, 청국장, 혹은 유산균까지 앞서 나열한 모든 제품에 세균이 함유되어 있고, 발효식품이나 유산균이 좋기 때문에 일부러 찾아 먹기도 하지요. 이러한 미생물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식도를 거쳐 위, 그리고 장에 이르기까지 긴 여정을 통해 대부분은 대장이라고 하는 기관에 정착을 하게 됩니다. 대장은 미생물이 살아가기에 최고의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높거나 낮지 않은 산도 (pH 5.5 ~ 7.0) 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가 다 되지 않은 음식물들이 남아 있고, 충분히 축축하고, 따뜻하기 때문에 다양한 스펙트럼의 미생물이 살아가기에 매우 좋은 보금자리입니다.


장 내 세균의 개수 및 역할

일반적으로 38조 (3.8 billions) 의 미생물이 장내 환경에서 살아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장내 미생물의 개수 및 미생물의 구성은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 장내 세균은 미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면역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황화수소와 같은 가스를 생성하기도 하고, 호르몬을 합성하기도 하고 전반적인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방귀 냄새에 영향을 주는 세균

대부분의 장내 세균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일부는 짧은사슬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s)을 합성하는 등의 유익균으로서의 역할을 자처합니다. 하지만, 방귀의 냄새를 생성하는 세균들 또한 존재합니다. 그 주범 (The main cause of flatulence smel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만나볼 세균은 디설포비브리오 (Desulfovibrio) 라는 속 (genus, 생물의 분류 체계 내 종,속,과,목,강,문,계 중 두번째 분류 단계 “속”) 입니다.

Desulfovibrio
Desulfovibrio <출처 : 위키피디아>

이 세균은 황산을 환원시키는 그람 음성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산화황 (H2S) 을 생성합니다. 이산화황은 썩은 계란 냄새를 생성하는 주요 웡니이며, 이라한 디설포비브리오는 이러한 황산염을 이산화황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어 살아가는 균입니다.


두번째로 만나볼 세균은 클로스트리디움 (Clostridium) 입니다.

Clostridium
클로스트리디움 <출처 : 위키피디아>

혐기성(산소가 있는 조건에서는 생존하지 못합니다. 다른 말로는 “산소를 싫어합니다.”) 세균으로, C. difficile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며, 인돌 (indole), 스카톨 (skatole), 그리고 카데베린 (cadaverine)과 같은 악취가 나는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이 세가지 화합물은 대변 냄새의 주된 원인입니다. 또한, C. difficile 감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는 장내 세균 불균형 등의 원인이 되며, 방귀 냄새의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만나볼 세균은 박테로이데스 (Bacteroides) 입니다.

Bacteroides
박테로이데스 <출처 : 위키피디아>

박테로이데스는 흔히 퍼미큐테스와 대응되는 “날씬균”으로 알려진 세균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짧은사슬지방산 (SCFAs)을 합성하며, 메탄가스를 비롯해, 이산화 탄소 등을 생성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스들의 혼합물은 방귀의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방귀 냄새의 또 다른 원인들

장내 세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원인들도 방귀 냄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 식단 : 황이 많이 포함된 종류의 식사는 황화수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지독한 방귀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계란, 마늘, 양파 등의 식습관이 장 내 황화수소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 소화기 질환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 질환, 유당불내증, C. difficile 감염증 등의 소화기 질환은 장내 미생물 분포의 균형을 깨뜨리고, 다양한 종류의 냄새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약물이나 식이 보조제 : 항생제나 몇 가지 의약품은 장내 균형을 깨뜨리기도 합니다. 높은 농도의 단백질 보조 식품을 먹는 경우에도 냄새가 나는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의 농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방귀 냄새를 줄이기 위한 노력

방귀의 횟수는 노력으로 바꾸기 어려울 수 있지만, 방귀 냄새는 우리의 노력과 의지력-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여기 몇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1. 식단 조절을 하십시오.
    • 너무 많은 양의 단백질이나, 황화수소가 함유된 제품을 줄이십시오.
  2. 물을 충분히 섭취하십시오.
  3. 좋은 유산균을 드세요.
  4. 프리바이오틱스, 식이섬유를 충분히 드시기 바랍니다. by IUINNA
  5. 적절히 운동하시기 바랍니다. by IUINNA
  6. 과식은 삼가십시오.
  7. 체중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by IUINNA
  8. 의료진과 적절히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제언

이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서, 방귀 냄새의 원인을 장내 미생물의 관점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적절히 의료진과 상담을 받고,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서 당신의 지독한 방귀 냄새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시기를 바랍니다. 본 글을 방귀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일반인을 대상으로 작성한 글로서, 의료진의 조언이나 의료 상담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있으면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참고문헌

  1. Furne, J., Springfield, J., Koenig, T., DeMaster, E., & Levitt, M. D. (2001). Oxid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methanethiol to thiosulfate by rat tissues: a specialized function of the colonic mucosa. Biochemical Pharmacology, 62(3), 255-259.
  2. Flint, H. J., Scott, K. P., Louis, P., & Duncan, S. H. (2012). The role of the gut microbiota in nutrition and health.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9(10), 577-589.
  3. Cummings, J. H., & Macfarlane, G. T. (1997). Role of intestinal bacteria in nutrient metabolism. Clinical Nutrition, 16(1), 3-11.
  4. O’Keefe, S. J. (2016). Diet, microorganisms, and their metabolites, and colon cancer.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3(12), 691-706.
  5. Ríos-Covián, D., Ruas-Madiedo, P., Margolles, A., Gueimonde, M., de Los Reyes-Gavilán, C. G., & Salazar, N. (2016). Intestinal short chain fatty acids and their link with diet and human health. Frontiers in Microbiology, 7, 185.
  6. Carbonero, F., Benefiel, A. C., Alizadeh-Ghamsari, A. H., & Gaskins, H. R. (2012). Microbial pathways in colonic sulfur metabolism and links with health and disease. Frontiers in Physiology, 3, 448.
  7. Rey, F. E., & Faith, J. J. (2013). Dissecting the in vivo metabolic potential of two human gut acetogen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8(29), 20769-20777.
  8. Diether, N. E., & Willing, B. P. (2019). Microbial fermentation of dietary protein: an important factor in diet−microbe−host interaction. Microorganisms, 7(1), 19.